▣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일장기 말소사건'을 주도한 신낙균 선생(10회 염직)

 

한국사진사(史)의 선구자 신낙균

(申樂均)(1899-1955) 선생,

신낙균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새로운 예술장르이자 선진 학문이었던 사진을 공부하고 사진가로 활동한 한국 사진사(史)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927년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일본 동경사진전문학교를 졸업, 귀국 후 최초의 사진 공교육 기관인 중앙기독교청년회(YMCA)학교의 사진과 교수로서 사진교육을 강의한 사진교육의 선구자였고 또 ‘사진학 강의’, ‘재료약품학’, ‘채광학대의’, ‘사진용술어집, 재료약품학부록’ 등을 저술하여 사진학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했다.

1920~30년대 초상사진 위주의 국내 사진계에서 예술사진운동을 주도하여 표현의 도구로서 가능성을 넓히고 사진예술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1934년에는 동아일보 사진부장으로 입사해 포토저널리즘이라는 당시로서는 신분야를 개척하였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1, 3위 입상자인 손기정, 남승룡 선수 사진에서 일장기 말소를 지시하여 당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왔고 이로 인해 우리 민족의 저항의식을 고양시켰다.


이 사건으로 신낙균과 소설가로 많이 알려진 사회부장 현진건 등 관련자가 일경에 끌려가 고초를 겪고, 파직되어 모든 공직에서 쫐겨 났으며, 동아일보는 무기한 정간되었다.

현재 동아일보에 사단법인 신낙균 선생기념사업회가 결성되어 있고, 신낙균상이 제정되어 매년 한국사진기자협회가 선정한 한국보도사진전 대상 수상자에게 수여되고 있다.

1899~1955

경기 안성 출생

일본 동경사진전문학교 졸

중앙기독교청년회(YMCA)학교 사진학과 교수

경성 사진학강습원 원장

동아일보 편집국 사진부장


참고문헌 : 한국사진의 선구자들


<사진의 길 - 신낙균선생서거50주년기념전> 및 <1920년대에 쓴 최초의 사진학> 출판기념회


▣ 기사출처 : 김영섭 화랑 *기사내용은 링크사이트를 참고하세요.*


,


 요즘 영국은 윌리엄왕자와  케이트 미들턴의 결혼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군요.
이들 행렬이 결혼식장으로 가기 위해 통과 예정인 시가지입니다.
배경음악은 바그너의 결혼행진곡과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입니다
,

  

1984년 서울공대 동창회에서 서울공대의 기원으로 1939년까지 경성공업학교와 경성공업전문학교가 같이 사용하던 사적 279호로 지정된 유서 깊은 건물인 공업전습소 본관(서울 동숭동 대학로 방송대 별관) 앞에서 기념식수하며 설치한 표지석이다.

그러나 내용이 옛 서울공대의 전신인 경성공업전문학교 교사라든지 하는 내용이 없고, 디자인이 좋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씌여진 내용은

▲ 전면에 "1907(고종44)3월 공업전습소 본관(사적279) 준공"          

    측면에 "1984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창회"라고 씌여져 있다.

 

이 건물은 외벽에 요즘말로 사이딩이라고 하는 나무판넬이 붙여진 르네상스양식의 목조로 건축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그림엽서에 조선명소로 소개되었다. 

 

현재는 한국방송대 별관으로 사용되고있다.

 

서울공대의 전신인 경성공업전문학교(경성고등공업학교)도 관립공업전습소 특별과로 출발한 고등교육기관,  모교의 전신인 官立京城工業學校는 중등교육기관으로 상하급학교로서 경성공업전문학교의 교수가 모교의 교사도 겸하고 있었다. 1940년 과거 경기도 였던 대방동에 동양최대의 경성공립공업학교가 신설되어 관립경성공업학교를 흡수,합병 시 까지 한 캠퍼스에서 교육을 받은 뿌리가 같은 교육기관이었다.

 

아쉬운 점은 이 곳이 모교의 교사, 교정이였다는 표지석이 없다는 점입니다.

                          

 

'포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교 전경  (0) 2016.06.12
서울 동숭동의 官立京城工業學校 본관  (0) 2014.04.01
하늘에서 본 모교  (0) 2011.04.18
모교 전경(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13호)  (0) 2011.01.17
,
 "당신이 결코 부자가 될 수 없는 6가지 이유"

기사출처:중앙일보 *기사내용은 링크사이트를 참고하세요.*

,

 울산시 경제부시장에 장만석(57) 국토해양부 건설수자원정책실장이 내정됐다.

박맹우 울산시장은 장 내정자 발탁 배경에 대해 "물 확보와 반구대암각화 보존 문제 등 당면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누가 최적임자인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했으며, SOC 확충을 통해 경제적 역량을 극대화하려는 의지도 담겨있다"고 밝혔다. 장 내정자는 10일 울산시 경제부시장에 취임한다.

 

장 내정자는 기술고시(16)를 통해 공직에 입문한 뒤 국토해양부에서 도로 건설교통 신도시개발 부서의 국.과장 거치는 등 SOC분야 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경북 예천 출신으로 서울공고와 연세대를 졸업했으며 미국 오하이오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

고영복 前서울대교수(38회 응용화학)께서 224일 담도암 투병 중 별세하셨습니다.  삼가 고영복 박사님의 명복을  빕니다.

 

해방 후 1세대 사회학자로서 사회변동과 사회구조, 사회심리 등의 분야에서 한국사회학의 기초를 닦은 사회학계의 권위자였으며  한국사회학회장, 한국문화정책개발원장을 역임했다.

 

박대통령 시절 육영수여사의 교양관련 개인교수를 했으며, 5공 초기 전두환대통령이 문교부장관에 임명하려 했으나 건강을 이유로 고사했는데 이는 정권의 정통성과 북의 삼촌 문제 등의 원인으로 보인다. 

 

고영복박사는 6.25 전쟁 전 서울대 사대 교수로 있다 월북하여 김일성대 교수로 있던 삼촌 소식을 전하며 접근한 공작원에게 포섭돼 남쪽의 기밀과 은신처를 제공했다는 혐의로 1997년 구속, 기소되어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그러나 법원은 언론에 다 알려진 남쪽의 정세를 소개한 것만으로 간첩죄를 물을 수 없다하여 불고지죄만으로 2년을 선고,  복역했다.  이는 민족분단이 가져온 또 하나의 상처였다.  99년 사면 뒤 사회문화연구소를 운영하며 활발히 집필에 전념했다.

 

,

포털《네이버》의 네이버 캐스트에 실린 건축가 장윤규(74회 건축) 동문에 대한 글입니다.

"인사이드에 선 아웃사이더 건축가 장윤규" 

기사출처:네이버 *기사내용은 링크사이트를 참고하세요.*

부산 출생    서울공고 졸    서울대 건축학과, 동 대학원 졸    국민대 건축학과 교수, 갤러리정미소 대표     한국공간디자인대상     대한민국 우수디자인 국무총리상     일본저널 10+1 세계의 젊은 건축가 40인 선정



 

                         

,

 ▣ 박장열 前 서울公立工業中學校 校長(7회 응용화학)

 

박장열 서울公立工業中學校 校長 본교 출신으로 일본 동경제국대학 응용화학부를 졸업한 엘리트로서 경성 동덕여학교 교감으로 재직 중 해방 후 미 군정청에 의해 공업교육의 적임자로 발탁, 서울公立工業中學校 교장으로 임명되어 해방 후 혼란과 좌우익의 대립으로 폐허로 변한 모교를 복구하고 학교교육을 정상화시켰다.

 

재임 중 6.25전쟁이 발발하여 피난지인 충북 예산군 옥계리에서 사망.

 

충북 충주 출생

경성공업전문학교(서울공대 전신)   

동경제국대학 공학부 응용화학과 졸

동덕여학교 교감

서울公立工業中學校 校長

 

  

,
 ▣ 박익수 前 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35회 요업)

 

 

  1970년 과학기술처 원자력 발전계획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한국원자력산업회의의 설립을 주도하였으며,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이사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장관급)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생전에 많은 저술활동을 펼쳐 과학의 철학, 과학의 반사상, 창조시대와 역사, 신과학사개론, 한국과학기술30년사 등을 출판했다

 

함북 이원 출생

京城公立工業學校(모교 전신)

서울대 사대 화학과졸

해사 교수

국제원자력기구(IAEA) 한국대표

과학기술처 상임원자력위원 원자력 발전계획위원회 위원장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초대 이사장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 및 명예회장

대한민국과학기술한림원 원로회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장관급)

 

저서 : 과학의 철학, 과학의 반사상, 창조시대와 역사, 신과학사개론, 한국과학기술30년사,한국원자력창업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