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약수(金若水) 제헌의회 초대 국회부의장


본관은 김해. 본명은 김두전(金枓栓)이며, 이명은 김두희(金枓熙). 아버지는 김은홍이다.


활동 사항

김약수(金若水)[1890~1964] 1890 10 21일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40번지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의열단 김원봉(金元鳳) 단장이 물과 같이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약수(若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김약수는 휘문의숙을 거쳐 1914년 관립경성공업전습소 응용화학과[각주:1]를 졸업하였다. 그 후 일본 도쿄로 건너가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에 다니다가 1915 12월 중퇴하였다.

귀국 후 고향 기장에서 기장광복회 회장을 맡는 등 독립 운동에 투신하다가, 1918년 국외에서 독립 운동에 매진하기 위해 김원봉·이여성(李如星) 등과 함께 중국 난징[南京]으로 망명하였다. 진링대학[金陵大學]에 재학 중 조국에서 3·1 운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국내 활동을 위해 이여성과 함께 1920년 다시 귀국하였다. 1920 9월 박중화(朴重華)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노동 단체인 조선노동공제회를 창설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日本大學] 사회과에 적을 두고 1921 11월 무정부주의자 박열(朴烈) 등과 함께 북성회를 조직하였고, 조선고학생동우회 등에 관여하다가 1922년 귀국하였다. 귀국 직후 사회주의 단체 북풍회(北風會)를 조직하였고, 1923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내에 잠입한 정재달과 접촉하여 구금되기도 하였다. 1924 4월 조선노동총동맹 및 조선청년총동맹의 창설에 참여하였고, 1925년 제1차 조선 공산당의 조직에 참여하였다. 이로 인해 1926 12월 대구에서 체포되어 징역 4년형을 선고 받았으나, 1932 10월까지 복역하였다.

김약수는 만주 사변 후 『대중』이라는 잡지를 발행하였으나 내용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일제 경찰들이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 구금하고 탄압하는 바람에 폐간되었고,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에 불응하여 여러 번 구금을 당하는 등 일제에 항거하여 일제 강점기에 총 9 7개월 동안이나 형무소에 갇혔다.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 간부로 선출되었으나, 건국준비위원회의 좌경화와 조선인민공화국으로의 개편에 반대하면서 좌익 진영을 이탈하여 한국민주당의 조직 부장을 맡았다. 그러나 1946 10월 다시 한국민주당을 탈당하였고 김규식과 함께 민중동맹의 창설에 참여하여 상임 위원을 맡으며 중간파 노선을 취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남조선 과도입법의원의 관선 의원으로 지명되어 활동하였고, 1947 5월 민중동맹에서 탈퇴해 조선공화당을 창당하여 서기장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매진하였던 좌우 합작 운동이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로 1947 12월에 해체되면서 실패로 끝나고 단독 정부 수립이 가시화되자, 김약수 역시 현실적인 노선으로 선회하여 단독 정부 수립 운동에 참여하였다.

1948
5·10 총선 때 동래[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제헌 의원에 당선, 초대 국회 부의장에 선출되었다. 국회에서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소장파 의원의 지도적 구실을 하였으며 1949 6월 남로당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수감되었다.

6
·25 전쟁 중 월북하여 1955년 북한의 인민경제대학 특설반에 입교하였고, 1956년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무위원 겸 집행 위원을 역임하였으나, 1959년 숙청되어 평안북도 벽지로 추방되었다. 1964 1 10일에 사망하였다.


▣ 출처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울工高 연혁

 1899. 5

 고종황제 칙령에 의해 4년제 官立商工學校 설립( 중구 명동)

 1904. 6

 4년제 官立農商工學校로 개편( 종로구 수송동 제용감 자리)

 1906. 4

 官立農商工學校의 工科는 官立工業傳習所( 종로구 동숭동),

 農科는 수원고등농림학교(現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 商科는 선린상업학교(現선린인터넷고) 분리

 1914.

 官立工業傳習所 특별과 설립(1916 신설된 京城工業專門學校의 전신)

 1916. 6

 관립공업전습소가 신설된 京城工業專門學校(京城高等工業學校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부속되고,  

 양교 교장을 중앙시험소(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소장이 겸임

 1922. 4

 官立京城工業學校(3년제) 개편

 1939. 6

 동작구 대방동 교사로 이전

 1940. 4

 京城公立工業學校(5년제) 개편 

 

 서울公立工業中學校(6년제) 개편

 1978. 3

 서울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9. 5

 「한국실업교육의 발상지」기념비 건립

 1994. 1

 서울공업고등학교로 교명 환원

 1999. 5

 개교 100주년


  1. 서울공고 연혁 참조 [본문으로]
,

  박대순 전 한양대 산업미술대학장(40)

 

작성 중~

서울대 미대

한양대 산업미술대학장

 

 

,

김병규 전 성균관대 공과대학장(35회 기계)


▲ 서울대 공대 화학공학

    성균관대 공과대학장

,

 ▣ 이희래 전 이화여대 의과대학장

,

김운용 전 성균관대 법과대학장

▶ 함경북도

    고려대 정치외교

    고려대 법학박사 

    강원대 법대교수

    한국공법학회 회장

    성균관대 법과대학장 

,

이원식 전 서울대 사범대 교수

▶ 

서울대

서울대 사범대 교수

,

정창희 전 서울대 대기과학과 교수

▶ 서울대

    서울대 대기과학과 교수

   

,

 ▣ 故 고영복 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해방 후 1세대 사회학자로서 사회변동과 사회구조, 사회심리 등의 분야에서 한국사회학의 기초를 닦은 사회학계의 권위자로서 한국사회학의 태두로 불리었으며, 한국사회학회장, 한국문화정책개발원장을 역임했다.

 

박대통령 시절 육영수여사의 교양관련 개인교수를 했으며, 5공 초기 전두환대통령이 문교부장관에 임명하려 했으나 건강을 이유로 고사했는데 이는 정권의 정통성과 북의 삼촌 문제 등의 원인으로 보인다. 

 

고영복박사는 6.25 전쟁 전 서울대 사대 교수로 있다 월북하여 김일성대 교수로 있던 삼촌 소식을 전하며 접근한 공작원에게 포섭돼 남쪽의 기밀과 은신처를 제공했다는 혐의로 1997년 구속, 기소되어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그러나 법원은 언론에 다 알려진 남쪽의 정세를 소개한 것만으로 간첩죄를 물을 수 없다하여 불고지죄만으로 2년을 선고,  옥고를 치루었다. 그러나 고영복 박사가 가족들을 살리기 위해 의용군에 입대하였다는 사실은 동료교수들도 알고 있는 사실이며, 외삼촌의 소식을 빌미로 접근한 간첩에 포섭되었다는 것은 그의 인품과 성향으로 보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제자들도 말하고 있다.  이는 민족분단이 가져온 또 하나의 가슴 아픈 상처였다. 

 

고영복박사는 언론인 리영희 교수와 京工 동기로 재학 중 현재 흑석동 인근 이웃에서 자취하였다하며, 리영희 교수가 2학년 재학 시 고가사의 집에 놀러 갔는데 벌써 5학년 전과정의 교과서를 모두 독학으로 끝냈다하여 신의주보통학교 시절 최고의 수재로 이름을 날렸던 자신도 놀랐다고 그의 자서전인 『역정』에 기술하고 있다.

 

경남 함안

서울대 문리대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서울대 문학박사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문화정책연구원 초대원장(차관급)

현대사회연구소장

사회문화연구소장

   

,
 ▣ 故 박영기 前 서강대 경영대학장

 

 

 한국 노동학계의 대부인 박영기 박사는 서강대학교 경영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수많은 노동운동 전문가들을 양성했으며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장, 노동부 정책 자문회 위원, 한국노동펜클럽 회장, 서강대 경영대학장 등을 지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연구센터 자문위원을 역임

 

 

연세대 경제학과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서강대 경영대학장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장

,

 ▣ 이형행 전 연세대 교육대학원장

 

▶ 

연세대 교육학과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육학박사

연세대 교육대학원장

연세대 명예교수

,